난시란 무엇인가요?
난시는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의 물체가 모두 뚜렷하게 보이지 않고,
물체의 가장자리가 구부러지거나 왜곡되어 흐릿한 시야를 보이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눈 앞의 각막이 축구공처럼
경선별로 모양이 같은 형태입니다. -
초점이 망막에
하나로 맺힙니다. -
겹쳐 보이지 않고
하나로 보입니다.
-
각막이 럭비공처럼
경선별로 모양이 다른 형태입니다. *180축 각막 난시 -
초점이 망막에
여러 개가 맺힙니다. -
거리에 상관없이
겹쳐 보입니다.
난시의 증상
난시를 교정하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은 불편한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읽기 속도 감소 1)
-
최대
00%
- 정교한 작업 중
오류 증가 2) -
최대
000%
- 야간 운전 중 시야의
불편함 경험 2) -
00%
- 두통 환자 중
미교정 난시 비중 3) -
00.0%
*평균 연령 23세의 400명 대상, 두통 환자 중 49.3%가 난시를 교정하지 않은 상태였다는 연구 결과에서 발췌
- 1) Jocelyn Wills, Robyn Gillett, Emmeline Eastwell, Rachel Abragam, Kristin Coffey, Ann Webber, and Joanne Wood, ‘Effect of simulated Astigmatic Refractive Error on Reading Performance in the Young’,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Vol. 89, No. 3, March 2012 - 2) Jun Zhang, Yifei Wu, Bhavna Sharma, Ritu Gupta, Shantanu Jawla, Mark A Bullimore, ‘Epidemiology and Burden of Astigmatis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ptom Vis Sci . 2023 Feb 7;100(3):218–231
- 3) Pragati Garg1, Astha Agrawal, ‘Prevalence of astigmatism in headache’, Indian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Ophthalmology, April-June
2018;4(2):268-272
난시에 대해 더 알아보세요.
01
난시 정의와 증상
02
난시 교정
03
난시 렌즈와 축
*평균 연령 23세의 400명 대상, 두통 환자 중 49.3%가 난시를 교정하지 않은 상태였다는 연구 결과에서 발췌
- 1) Jocelyn Wills, Robyn Gillett, Emmeline Eastwell, Rachel Abragam, Kristin Coffey, Ann Webber, and Joanne Wood, ‘Effect of simulated Astigmatic Refractive Error on Reading Performance in the Young’,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Vol. 89, No. 3, March 2012
- 2) Jun Zhang, Yifei Wu, Bhavna Sharma, Ritu Gupta, Shantanu Jawla, Mark A Bullimore, ‘Epidemiology and Burden of Astigmatis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ptom Vis Sci . 2023 Feb 7;100(3):218–231
- 3) Pragati Garg1, Astha Agrawal, ‘Prevalence of astigmatism in headache’, Indian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Ophthalmology, April-June
2018;4(2):268-272